2025/03/10 12

제5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1장. 앎에서 삶으로)

사람들은 행복을 추구한다. 하지만 행복은 사람에게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많은 철학자와 사상가들이 행복한 삶의 본질이 무엇인지, 어떻게 그것을 얻을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면서 탐구해 왔다. 당연히 행복을 얻으려는 다양한 방법과 원리들에 관해 지엽적인 성과는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무엇이 진정한 행복인지 그 본질을 제대로 찾아내고 행복에 이르는 확실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 준 사람은 별로 없다. 만약 있었다면 그토록 인간은 고뇌하고, 이혼하고, 상처를 주고, 자살하고, 다투고 전쟁을 치르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을 것이다.  다만 행복의 주변에 관한 것들을 통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에 시사점을 준 사람들이 적지 않다.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제비가 날아왔다고 해서 봄..

제4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1장. 본문과 해설)

제1장 태초The Beginning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from deep darkness. The opening chapter of Genesis tells the story of the beginning of all existence and explains how God created the entire universe. God, being the cause and source of all things, accomplished this monumental task of creation in six days. 1)* In the beginning 태초에.* existence [익′지스턴스] 존재, 실재, 현존.* entir..

제3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1장 SYNOPSIS)

제1장 태초The Beginning SYNOPSIS 창세기 제1장은 인간 존재와 우주 만물의 시작과 근원, 그리고 그 전개에 관련하여 간결하면서도 명료하게 진리를 선포한 글이다. 여기에는 모든 만물과 인간의 시작(the Beginning)이며, 원인(the Source, the Cause)이고, 완성(the Completion)이란 세 가지 창조의 진리가 함의되어 있다. 어떤 학자는 1장 1절이 단순히 천지창조의 선언에 불과한 것이라 하며, 시작은 3절부터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밝힌다. 만약 3절(빛이 있으라)부터가 창조의 시작이라면 하나님의 창조 이전에 이미 2절에 언급된 땅, 흑암, 수면 등은 하나님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는 말이 되므로 하나님의 천지창조가 유에서 유를 창조한 격이 된..

제2회. 창세기에 관하여 An Overview of Genesis

창세기의 개요An Overview of Genesis  창세기(Genesis)의 기록 시기는 기원전 1,446년에서 기원전 1,406년 사이로 추정된다. 이 시기는 대략 모세가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애굽을 탈출한 시기 이후부터 모세가 느보 산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전까지이다. 창세기는 우주와 세계의 시작, 인류의 시작, 원죄의 시작,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약속과 계획의 시작, 아브라함과 하나님 사이의 특별한 관계의 시작과 같이 ‘많은 시작’에 관해 기록된 책이다. 이 책에는 하나님께서 아담, 이브(하와), 노아,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요셉 및 그의 형제들과 같은 특별한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하나님께서 이 특별한 인물들을 위한 자신의 계획을 어떻게 전개하셨는지를 담고 있다. ‘토라(תור..

제1회. 이야기 영어성경 (창세기) 시작

이 책은 성경을 통해서 영어 독해력을 높이고자 하거나 영어로 성경을 공부하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성경 본문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야기로 재구성한 영어성경 학습서입니다. 난이도는 고등학생 수능 수준, 또는 조금 더 높은 수준을 기대하면서 미국식 영어를 활용했습니다. 이 책은 KJV나 NIV, ASV와 같은 영어성경 번역본이 아니고, 성경을 토대로 영어로 만들어진 이야기입니다. 여기에서 필자는 접속사를 사용하기보다 간결한 분사구문과 같은 축약된 문장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이 때문에 독자로서는 영어성경 번역본보다 본서를 해석하기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목적의 목적’이란 말이 있듯이 오히려 독해력 공부를 위해서 영어성경 못지않게 본서를 활용한 공부가 학습에 더 적합할 수 있겠다고 ..

플라톤_ 플라톤의 비대화편 - 변론, 메넥세노스, 메모라빌리아-6회

대화편이 아닌 저술들의 구조​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그처럼 비판했던 대화법과는 전혀 다른 수사술의 방법을 사용한 적이 있었다. 다수 청중을 향해 사용하던 수사술의 성격을 지닌 비(非)대화편이 있다는 점은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저서가 '소크라테스의 변론' 편과 '메넥세노스' 편이다. 이 두 편에 대한 고찰은 필자가 논하고자 하는 중심적 주제는 아니지만, 논술 개념에서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다. 또한 플라톤의 저서는 아니지만, 소크라테스의 진면목을 알 수 있는 저서가 있다. 크세노폰이 쓴 '메모라빌리아(또는 '소크라테스의 회상')'이다.​'변론' 편에서는 법정에서의 연설과 변론이 이어지는 상황들이 그려져 있으며 엄밀히 말하면 대화편이 아니라 변론서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특유의..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플라톤_소피스트의 수사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5회

대화편에서 소피스테스(소피스트)의 수사술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 의해 꾸준히 비판되어 왔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보는 대화법과 소피스트의 수사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그 구분 기준은, 첫째 진정한 기술인가 아닌가, 둘째 확실한 앎인가 단순한 의견인가, 셋째 구체적 대상이 있는가 아니면 모든 대상에 관련되는가의 물음과 관련된다. 세 가지 물음의 입각하여 대화술과 수사술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이 비교는 '국가' 편과 '고르기아스' 편을 중심으로 플라톤이 비판하는 관점에서 비교한 것이다.​ *수사술에 대한 비판이 주제가 된 플라톤의 대표적인 대화편은 '고르기아스'편과 '파에드로스'이다. 여기에서는 '고르기아스' 편에서 나타난 플라톤의 수사술 비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플라톤 '국가'에 나타난 교육사상 -4회

플라톤의 저서들이 대략 40여 권이 되지만 진위가 가려져서 진작으로 분류된 것들은 대략 25권 내외이다. 대략 25권 내외라고 한 이유는 학자에 따라 달리 보는 점도 있기 때문이다. 플라톤에서 많은 것들이 나왔다. 예를 하나만 들어보자. 그의 대화편인 “크라틸로스”에서는 오늘날 논쟁의 핵심인 언어 논리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두 인물이 나온다. 헤르모게네스는 언어 개념은 사람들이 약속해서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고 크라틸로스는 말이라는 것은 그것의 본질(eidos, 형상)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전자는 규약주의자라고 할 수 있고, 후자는 자연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헬라스 당시 두 흐름, 곧 헤라클레이토스와 같은 변화의 철학과 피타고라스나 파르메니데스의 불변의 철학을 대..

플라톤 '국가'에 나타난 사상(전권 요약) -3회

"국가"는 플라톤 대화편 전체 저작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담고 있으며, 초기에서 중기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사상과 방법론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문체나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제1권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기 이후에 속한다. 미하엘 보르트는 중기 대화편으로 본다. 그러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제1권은 초기 후기, 제2편~제10편은 중기 후기의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그 이유는 이데아(idea), 관여(methexis), 결합(koinonia), 변증법(dialektike) 등의 개념이 제1권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1) 제1권제1권을 ‘트라시마코스 편’이라고도 한다. 소피스트인 트라시마코스가 정의(正義)는 ‘강한 자가 얻는 이익’이라는 주장에 대해 대화 참여자 소크라테스가 이를 논박하는 과정으로 ..

플라톤 '국가'에 나타난 교육사상 -2회

플라톤의 “국가(Politeia)”에 나타난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에 대해 쓴 글을 함께 읽었으면 해서 올립니다. 스토리 채널에서는 각 페이지당 자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몇 조각으로 나누어 올립니다. ​[높은 이상을 향한 교육의 길]-플라톤의 “국가(Politeia)”에 나타난 교육사상과 교육방법​Ⅰ. 들어가면서​무려 2,400년 전 고대 헬라스에서 일어난 일들이, 그리고 그와 관련된 인물들이 오늘날 우리들의 삶에 어떤 관계가 있기에 그렇게 많이 회자(膾炙)되고 있는가를 물으면 그 이유를 간단히 말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고대에 있었던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름은 우리들에게 유명한 인물이며 한 번씩은 대화에서 그들의 말을 인용하기도 한다. 때로는 어떤 논쟁이 있을 때나 사회 문제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