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69

제8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2장. 앎에서 삶으로)

창조주 하나님께서 6일 동안 만물과 인생을 지으신 후 이렛날에 휴식하시고 이 날을 복되고 거룩하게 하셨다. 인간도 이에 따라 평소에는 부지런히 일하고 최소한 하루는 쉬어야 한다. 인간의 영혼과 육체는 노동 후에 기쁨과 평화를 누리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 같다. 인간의 삶과 사회에서 노동이 갖는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지금은 근대 이전과 달리 풍요를 누리는 자본주의 시대이지만 가치 창출과 행복의 근원이 노동이라는 데에는 많은 경제학자들이 동의한다. 그러나 노동이 중요하다고 해서 쉬지 않고 일하다 보면 반드시 탈이 나기 마련이다.본 장에서는 안식일(신약시대 이후로는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을 주일로 삼음)이 필요한 이유를 하나님께서 친히 보여주셨다. 사람은 생리학적으로 노력 없는 보상회로만 작동시키면 ..

제7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2장. 본문과 해설)

After completing His creation,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The heavens and the earth were finished, and God blessed this day, making it holy. The order established by God through creation was perfect in itself, and now all life was ready to begin in the abundant world given by God. 1)* complete 완료하다, 완성하다, 끝마치다. * was ready to ~ 할 준비가 되었다. * abundant 풍부한. In the beginning, there was neither r..

제6회 이야기 영어성경(창세기 제2장 SYNOPSIS)

제2장 아담과 하와Adam and Eve  시놉시스 하나님께서 캄캄한 공허에서 생명의 환희로 가득 찬 아름다운 동산을 창조하셨다. 하나님께서 만물과 함께 인간을 창조하셨는데 기자(記者)는 이번 장에서 인간 창조에 관하여 더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본 장에서 최초의 동산, 최초의 사명과 금령, 최초의 결혼이 언급되었다. 여기서 사람의 창조가 흙으로부터 유래했으며 생령(生靈)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성경은, 기독교의 생명관이 헬라인의 영혼-육체 이원론적 사고나 불교 전생 개념과 완전히 다름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 창조한 사람은 실재적인 몸과 생명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존재다. 하나님께서 그 숨을 거두어가시면 인간의 육신은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본 장의 내용으로 인간 생명의 원천, 생사의 결..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4) 탐구

'죽음에 이르는 병'- 이 책이 지닌 의의 1. 죽음에 이르지 않는 병과 죽음에 이르는 병​기독교 관점에서 죽음은 죽음에 이르지 않는다. 진정한 의미에서 죽음에 이르는 병은 실존 상황에서도 신으로부터 벗어나 절망하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 어떤 가난이나, 고통이나, 질병이나, 죽음마저도 신앙 앞에서는 죽음이 아니다. 이 책은 현대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한계 상황에서 부딪혀 신 앞에선 단독자로서 치유의 길의 보여 주었다.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현대 이성의 보편적 인륜을 주장한 헤겔에 대하여 통렬히 비판하였다. 극단의 반대편에 있는 마르크스 주의와 마찬가지로 헤겔 철학의 이성은 현대인의 자기 소외와 절망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강력히 드러낸다.​****** 죽음도 ‘죽음에 이르는 병’ 이 아니..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3)

'죽음에 이르는 병' 본문해설 : 손재준 교수님의 해석을 빌려옵니다.출처: 손재준,「키에르케고오르의 生涯와 思想」, 『세계사상전집 19권 키에르케고오르』, 1983. 삼성출판사 저자와 '죽음에 이르는 병(Sygdommen til Døden)'​『죽음에 이르는 병(Sygdommen til Døden)』은 실존주의 선구자인 키에르케고르의 반헤겔적이며 가장 기독교적인 죄의 본질을 실존의 관점에서 다룬 책이다. 위 본문 역자인 손재준 선생의 서평을 소개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다음은 손재준 선생의 서평이다. 이 저작은 죄의 본질을 중심으로 다룬 것으로 1850년에 간행되었다. 직후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사랑의 행위》 및 《그리스도교의 훈련》과 아울러 키에르케고오르의 저작 중 가장 강한 인상을 풍기는 그리..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2)

'죽음에 이르는 병'은 크게 2부로 나뉜다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주의는 다소 어렵습니다. 이 문서의 앞의 포스트를 먼저 읽으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글은 '죽음에 이르는 병'의 중요한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제1부]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절망은 정신적인 병이며 자아의 병이다. 그리고 거기에는 세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인간의 정신이 절망 속에서 자아를 갖고 있음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轉義的인 절망:외부로부터 전이되어 자아의 의식에서 벗어나 있는 절망),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고자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인​간은 정신이다. 그러면 정신이란 무엇인가? 정신이란 자아이다. 자아란 무엇인가? 자아란 자기 자신에 대한 하나..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1)

작가에 대하여​죄렌 키에르케고르 (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덴마크의 실존주의 사상가. 그리스도교적 실존의 입장에서 합리주의적 사변철학(思辨哲學)에 반대하고, 신앙을 인간의 오성(悟性)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역설(패러독스)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단독자(單獨者)라는 개념과 실존(實存) 개념은 20세기 실존주의 철학과 변증법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작으로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공포와 전율』, 『철학적 단편』, 『불안의 개념』, 『반복』등이 있다. '죽음에 이르는 병'은 2부로 나뉜다. "주여! 무익한 것에 대하여서는 우리들의 눈을 흐리게 하시고, 당신의 모든 진리에 대하여는 우리들의 눈을 맑게 해주소서."  1.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키에..

전자책에서 범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HTML 엔티티 목록(특수문자) 중 대표적인 것 소개

범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HTML 엔티티 목록 중 대표적인 것들 1. 주요 특수문자 문자 설명 HTML 엔티티 유니코드© 저작권 기호 © U+00A9® 등록상표 기호 ® U+00AE™ 상표 기호 ™ U+2122§ 절(섹션) 기호 § U+00A7¶ 단락 기호 ¶ U+00B6° 도 (온도, 각도) ° U+00B0± 플러스마이너스 ± U+00B1  2. 따옴표 및 구두점 문자 설명 HTML 엔티티 / 유니코드“ ” 큰따옴표 “ ” / U+201C U+201D‘ ’ 작은따옴표 ‘ ’ / U+2018 U+2019« » 겹화살괄호(프랑스어 따옴표) « » / U+00AB U+00BB『 』 ..

전자책에서 특수문자 처리-중간 네모로 된 작은 사각형 (■)이 다른 것으로 보일 때

중간 네모로 된 작은 사각형 (■)의 처리 블랙 스몰 스퀘어(Black Small Square, ■)이라고 합니다.  1. HTML 엔티티 코드 사용하는 방법 html •  • (Black Bullet, 작은 원) -->□  □ (White Square, 흰 사각형) -->&blacksmallsquare;  ■ (Black Small Square, 검은 작은 사각형) --> 하지만 &blacksmallsquare;는 일부 브라우저 및 EPUB 리더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유니코드 직접 입력 ■ (Black Small Square) → U+25AAHTML에서는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html▪  ■ --> 또는 10진수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h..

전자책 등에서 특수문자 해결(겹낫표 『 』 등)

전자책이나 다른 포맷에서 한컴 오피스나 한글 워드로 만든  문서에서 꺽쇠(겹낫표, 낫표)가 네모(ㅁ) 모양으로 나타날 때가 있어서 읽기에 불편한 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에 제 경우에도 친구가 쓴 논문에 가까운 학술서 책을 전자책(epub) 포맷으로 만들어줄 때 모든 겹낫표가 네모(ㅁ)로 나와서 곤란할 때가 있었습니다. 논문이나 학술서는 사실 전자책으로 만들기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우선, 많은 인용문이나 참고도서를 인용하기 때문이고, 다음으로 글을 구조적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특수문자나 도표, 양식, 탭키 등을 너무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런 책을 쓰는 사람들은 학자가 대부분이지만 IT나 디지털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