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에 관하여/철학.논리 6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4) 탐구

'죽음에 이르는 병'- 이 책이 지닌 의의 1. 죽음에 이르지 않는 병과 죽음에 이르는 병​기독교 관점에서 죽음은 죽음에 이르지 않는다. 진정한 의미에서 죽음에 이르는 병은 실존 상황에서도 신으로부터 벗어나 절망하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 어떤 가난이나, 고통이나, 질병이나, 죽음마저도 신앙 앞에서는 죽음이 아니다. 이 책은 현대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한계 상황에서 부딪혀 신 앞에선 단독자로서 치유의 길의 보여 주었다.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현대 이성의 보편적 인륜을 주장한 헤겔에 대하여 통렬히 비판하였다. 극단의 반대편에 있는 마르크스 주의와 마찬가지로 헤겔 철학의 이성은 현대인의 자기 소외와 절망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강력히 드러낸다.​****** 죽음도 ‘죽음에 이르는 병’ 이 아니..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3)

'죽음에 이르는 병' 본문해설 : 손재준 교수님의 해석을 빌려옵니다.출처: 손재준,「키에르케고오르의 生涯와 思想」, 『세계사상전집 19권 키에르케고오르』, 1983. 삼성출판사 저자와 '죽음에 이르는 병(Sygdommen til Døden)'​『죽음에 이르는 병(Sygdommen til Døden)』은 실존주의 선구자인 키에르케고르의 반헤겔적이며 가장 기독교적인 죄의 본질을 실존의 관점에서 다룬 책이다. 위 본문 역자인 손재준 선생의 서평을 소개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다음은 손재준 선생의 서평이다. 이 저작은 죄의 본질을 중심으로 다룬 것으로 1850년에 간행되었다. 직후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사랑의 행위》 및 《그리스도교의 훈련》과 아울러 키에르케고오르의 저작 중 가장 강한 인상을 풍기는 그리..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2)

'죽음에 이르는 병'은 크게 2부로 나뉜다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주의는 다소 어렵습니다. 이 문서의 앞의 포스트를 먼저 읽으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글은 '죽음에 이르는 병'의 중요한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제1부]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절망은 정신적인 병이며 자아의 병이다. 그리고 거기에는 세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인간의 정신이 절망 속에서 자아를 갖고 있음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轉義的인 절망:외부로부터 전이되어 자아의 의식에서 벗어나 있는 절망),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고자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인​간은 정신이다. 그러면 정신이란 무엇인가? 정신이란 자아이다. 자아란 무엇인가? 자아란 자기 자신에 대한 하나..

죽음에 이르는 병 - 키에르케고르 탐구(1)

작가에 대하여​죄렌 키에르케고르 (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덴마크의 실존주의 사상가. 그리스도교적 실존의 입장에서 합리주의적 사변철학(思辨哲學)에 반대하고, 신앙을 인간의 오성(悟性)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역설(패러독스)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단독자(單獨者)라는 개념과 실존(實存) 개념은 20세기 실존주의 철학과 변증법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작으로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공포와 전율』, 『철학적 단편』, 『불안의 개념』, 『반복』등이 있다. '죽음에 이르는 병'은 2부로 나뉜다. "주여! 무익한 것에 대하여서는 우리들의 눈을 흐리게 하시고, 당신의 모든 진리에 대하여는 우리들의 눈을 맑게 해주소서."  1.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키에..

모티머 J. 애들러의 관점에서 본 인간 특성과 진화론 문제

모티머 J. 애들러의 관점에서 본 인간 특성과 진화론 문제​이 글은 모티머, J. 애들러가 쓴 「개념어 해석」의 글을 기초로 제 생각을 가미하여 쓴 글입니다.​​​다윈은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차이를 지능과 기술의 정도 차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인간과 원숭이의 차이를 모든 신체적 관점에서 볼 때 단지 정도의 차이일 뿐이라는 것이 확증되더라도 그것으로는 다윈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았다.​모티머 J. 애들러는 그의 책 「개념어 해석」에서 다른 동물들이 인간이라는 선을 넘지 못하는 결정적 차이를 세 가지로 지적했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8moments, 출처 Unsplash​1. 오직 인간만이 기술적으로 만든다. 거미가 아무리 정교하고 레이스보다 더 아름답게 거미줄을 만들어도 그 방식은..

세계를 관찰하기- 인과율(feat. 쇼펜하우어)

세계를 관찰하기- 인과율    2024. 7. 23. 2:04에 써 두었던 글입니다.​​중국의 돼지고기 가격 하락이 배드민턴에 미친 영향, 정전이 우리 삶과 얼마나 깊숙히 연결된 것인지 보여 준 지난 주 사건(S&P500, 나스닥 하락의 이유)​최근 중국 일부에서 배드민턴이 부유한 사람들의 스포츠로 인식된다고 한다. 이 현상의 배후에는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수요 증가에 있다고 한다. 돼지고기 수요가 늘어나자 상대적으로 거위와 오리의 출하가 줄어들어 셔틀콕의 생산과 공급이 줄어들었고 셔틀콕의 소비자 가격이 급등했다. 셔특콕은 배드민턴을 칠 때 사용하는 날개달린 공이다. 날개는 거위나 오리의 깃털(feather)로 만들어진다. 심지어 셔틀콕의 가격과 함께 배드민턴 라켓 가격까지 급등했다. 때문에 일부 지역에..